본문 바로가기
시사

대북방송(대북 확기 및 라디오 / 단파방송 ) 동향

by 쁘리v 2025. 6. 26.
반응형

요청하신 대북방송(대북 확성기 및 라디오/단파 방송)에 대해 최근 동향을 정리해 드립니다.


🇰🇷 1. 남한의 대북 확성기 방송 현황

  • 2024년 여름, 북한의 ‘오물 풍선’ 대응으로 남쪽 군 당국이 DMZ 인근에서 확성기 방송(선전·K‑팝) 재개했습니다 youtube.com+6m.wowtv.co.kr+6youtube.com+6.
  • 하지만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인 6월 11일, 군 당국은 “남북 신뢰 회복” 차원에서 1년 만에 방송을 일시 중단했습니다 .
  • 국방부는 “북한의 대응을 아직 확인 중이며, 향후 남북 대화 모멘텀에 달려 있다”고 언급했고 , 동시에 주민들의 소음 민원이 고려되었다고 했습니다 reuters.com+2en.wikipedia.org+2youtube.com+2.

2. 북한의 반응

  • 북한 역시 남측 방송이 중단된 후, 남북 간 확성기 소음을 유지하거나 재개할 가능성이 있으며, 실제로 대남 소음 방송을 계속하고 있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youtube.com+5chosun.com+5m.wowtv.co.kr+5.
  • 또한, 북측 역시 과거 지속적으로 확성기를 이용해 반남 선전·군가·소음 방송 등을 해왔습니다 .

3. 대북 라디오·단파 방송

  • 한국 내 탈북자 단체와 미국 지원 기반의 ‘자유북한방송(Free North Korea Radio)’는 2004년부터 서울에서 단파·중파 라디오로 북한 내부에 뉴스, 현실 정보 등을 송출하고 있습니다 en.wikipedia.org+1en.wikipedia.org+1.
    • 방송 시간은 한국 시각 기준 저녁과 아침(예: 22:00–23:00 / 05:00–06:00)으로, 북한 주민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주요 창구입니다 .

🎯 요약

구분내용
확성기 방송 2024년 DMZ에서 재개 → 2025년 6월 중단 (남북 긴장 완화 조치)
북한 반응 여전히 소음 방송을 유지 혹은 재개 가능성 있음
단파 라디오 자유북한방송 등으로 지속 송출 중
 

🔎 추가 시사점

  • 남북 관계: 대북 방송 재개 및 중단은 남북 긴장 및 대화 모멘텀의 바로미터 역할. 이재명 정부의 조치는 경색 완화 의지를 반영합니다 en.wikipedia.org.
  • 주민 영향: DMZ 인근 주민들이 심한 소음 피해를 지속 호소해 왔으며, 이 같은 피해 또한 주요 고려 요소였습니다 .
  • 전파 저항: 라디오 단파 방송은 확성기보다 훨씬 은밀하고 지속적인 정보 수단으로 북한 내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facebook.com+4youtube.com+4m.wowtv.co.kr+4.
반응형

'시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5년 물가상승률  (0) 2025.06.30
기업 신입사원 입사 절차  (0) 2025.06.30
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  (0) 2025.06.25
팔레스타인 역사 요약  (0) 2025.06.25
이란 핵 문제: 외교적 경제적 갈등  (0) 2025.06.25

댓글